금형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술사
comment
금형분야에 관한 고도에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 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금형은 각종 공산품을 양산하는데 필요한 도구이자 수단으로서 거의 모든 공산품 생산 에 활용된다.따라서 금형에 의하지 않고는 생산량 확대에 어려움이 뒤따른다.이에 금형에 관한 공학이론을 바탕으로 공정, 기계 및 기술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전문기 술인 배출을 위해 자격을 제정.
- 수행직무
금형분야에 관한 고도에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 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현재 금형기술사의 반수 가량은 금형제작업체, 자동차, 전자 및 전기, 기계분야 사업 체등의 연구부서, 생산기술부서, 금형설계 및 제조부서 등에 진출해 있다.나머지 반수 가량은 학계, 연구소, 국공립기관에 진출해 있는데, 대학교수 및 직업학교교 사, 공업계고등학교교사가 많은 편이다.- 금형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전기·전자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 기 등의 수송기계와 반도체·통신기기, 산업기계, 정밀기계, 광학기기, 농업·건축용 기기, 완구 등을 제조하는데 필수적으로 이용되는 만큼 광범위하고 다양하다.이 와 더불어 금형분야에서의 CAD/CAM 시스템 도입에 의한 자동화와 자동차, 가전제품, 완구류 등 제품의 모델 수명의 단축에 따른 개발기간의 단축, 원가절감을 위한 공정 개선, 제품의 고정밀도화가 요구되고 있다.이에 따라 연구·개발이나 지도, 감리 등 기술적 업무를 담당할 고급 전문기술인력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이다.또한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 어링 및 관련 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하는데도 유리할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금속공학, 금속재료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금형재료, 금형가공, 금형설계, 금형제작, 산업응용에 의한 금형설계 및 가공(CAD/CAM)에 의한 기계금형 전반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 (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금형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82명
- 필기응시
- 158명
- 필기합격
- 52명
- 합격률
- 32.9%
- 실기접수
- 102명
- 실기응시
- 101명
- 실기합격
- 39명
- 합격률
- 38.6%
2023년 금형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212명
- 필기응시
- 182명
- 필기합격
- 32명
- 합격률
- 17.6%
- 실기접수
- 72명
- 실기응시
- 72명
- 실기합격
- 27명
- 합격률
- 37.5%
2022년 금형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53명
- 필기응시
- 128명
- 필기합격
- 16명
- 합격률
- 12.5%
- 실기접수
- 30명
- 실기응시
- 30명
- 실기합격
- 10명
- 합격률
- 33.3%
2021년 금형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211명
- 필기응시
- 164명
- 필기합격
- 27명
- 합격률
- 16.5%
- 실기접수
- 60명
- 실기응시
- 60명
- 실기합격
- 33명
- 합격률
- 55.0%
2020년 금형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298명
- 필기응시
- 244명
- 필기합격
- 31명
- 합격률
- 12.7%
- 실기접수
- 77명
- 실기응시
- 77명
- 실기합격
- 35명
- 합격률
- 45.5%
2019년 금형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227명
- 필기응시
- 208명
- 필기합격
- 57명
- 합격률
- 27.4%
- 실기접수
- 108명
- 실기응시
- 108명
- 실기합격
- 52명
- 합격률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