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가공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술사
comment
주조, 단조, 압연 등 금속가공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연구개 발 및 설계, 시험·분석담당. 또는 이와 관련된 기술지도 및 기술자문 수행.
금속산업은 중화학공업의 기반을 이루는 것으로 전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금속재료의 여러 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는 전문기술자의 양성이 시급하여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주조, 단조, 압연 등 금속가공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연구개 발 및 설계, 시험·분석담당.또는 이와 관련된 기술지도 및 기술자문 수행.
- 진로 및 전망
- 제철소, 금속제련업체, 제강업체, 금속가공공장에서 활동하거나 기계, 전기, 원자력, 전자, 조선, 항공 등의 기업체에서 기술자문과 기술지도를 담당할 수 있다.또는 금 속가공에 대한 사무소·공장을 직접 운영하기도 한다.- 금속재료는 공업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초소재로 제조업의 주된 원자재로 사 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금속재료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또 한 선진국형 산업구조로의 이행에 금속산업은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따라서 국제경 쟁력확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술개발과 그에 따른 연구인력의 확보가 우선시 될 전망이어서 금속가공기술과 관련된 전문지식과 기술을 소지한 인력의 역할은 중요성 을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금속산업이 중공업과 함께 성장 하였기 때문에 이미 상당수의 금속산업관련 기술자가 공급되어 온 상태여서 기술개발 과 관련한 급격한 인력수요는 예상되지 않는다.하지만 다양한 금속재료나 합금재료 의 특성에 따른 주조방법이나 용접방법 등 금속가공방법을 개발하는 최고 전문기술자 인 기술사의 역할에 따라 금속산업의 발전가능성여부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는 만큼 이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금속공학, 금속재료공학, 재료공학, 재료금속공학, 금형과, 금형설계과, 금속과, 표면처리과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주조, 단조, 압연, 용접 및 열처리, 기타 금속가공에 관한 기술과 시설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금속가공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25명
- 필기응시
- 22명
- 필기합격
- 6명
- 합격률
- 27.3%
- 실기접수
- 15명
- 실기응시
- 15명
- 실기합격
- 7명
- 합격률
- 46.7%
2023년 금속가공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34명
- 필기응시
- 33명
- 필기합격
- 15명
- 합격률
- 45.5%
- 실기접수
- 18명
- 실기응시
- 18명
- 실기합격
- 7명
- 합격률
- 38.9%
2022년 금속가공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24명
- 필기응시
- 21명
- 필기합격
- 7명
- 합격률
- 33.3%
- 실기접수
- 10명
- 실기응시
- 9명
- 실기합격
- 6명
- 합격률
- 66.7%
2021년 금속가공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5명
- 필기응시
- 13명
- 필기합격
- 5명
- 합격률
- 38.5%
- 실기접수
- 10명
- 실기응시
- 10명
- 실기합격
- 6명
- 합격률
- 60.0%
2020년 금속가공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명
- 필기응시
- 13명
- 필기합격
- 8명
- 합격률
- 61.5%
- 실기접수
- 10명
- 실기응시
- 10명
- 실기합격
- 5명
- 합격률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