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술사
comment
토목구조분야의 토목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 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모든 토목구조물은 자중, 내용물의 무게, 풍압 등 각종 힘의 작용을 받는다.이 힘들 은 구조물을 변형, 붕괴, 또는 진동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따라서 구조물에 필요한 강도와 기능을 가장 경제적으로 마련하기 위하여 조사, 계획, 연구, 설계, 분석 및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지식과 풍부한 실무기술을 겸 비한 인력양성이 필요함이 요구되어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토목구조분야의 토목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 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시공회사, 설계회사, 관공서, 학계, 연구소 등에 설계, 해석, 시공·감리부서나 토목 구조에 관한 연구부서로 진출할 수 있다.- 먼저 인력공급 측면에서 1994년 293명의 응시자가 1998년에는 1,108며으로 815명으 로 증가하였으며 합격자 또한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수요측면에서는 도로, 교량, 터널 등 토목구조물의 부실시공으로 재시공 및 안전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면서 토 목구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또한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의 확충.댐건설, 고 속전철 등 대규모 토목건설이 진행중이거나 새로이 시작되어 토목구조 기술사의 인력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그러나 WTO의 출범과 OECD가입으로 인하여 건설부문도 무한 경쟁의 국제질서에 더 한층 노출되고 있어, 대내적으로 국내시장의 잠식이라는 문제 가 부각되는 한편, 대외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할 수 있게 되어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한 경쟁력확보가 중요하게 되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토목공학, 건축공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구조해석,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구조 및 시멘트제품 기타 구조물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100분, 총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시험(30분정도)⑤ 합격기준 -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자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토목구조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494명
- 필기응시
- 424명
- 필기합격
- 26명
- 합격률
- 6.1%
- 실기접수
- 47명
- 실기응시
- 47명
- 실기합격
- 30명
- 합격률
- 63.8%
2023년 토목구조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484명
- 필기응시
- 394명
- 필기합격
- 27명
- 합격률
- 6.9%
- 실기접수
- 38명
- 실기응시
- 38명
- 실기합격
- 23명
- 합격률
- 60.5%
2022년 토목구조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433명
- 필기응시
- 355명
- 필기합격
- 17명
- 합격률
- 4.8%
- 실기접수
- 34명
- 실기응시
- 32명
- 실기합격
- 21명
- 합격률
- 65.6%
2021년 토목구조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449명
- 필기응시
- 368명
- 필기합격
- 61명
- 합격률
- 16.6%
- 실기접수
- 78명
- 실기응시
- 77명
- 실기합격
- 56명
- 합격률
- 72.7%
2020년 토목구조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411명
- 필기응시
- 342명
- 필기합격
- 29명
- 합격률
- 8.5%
- 실기접수
- 49명
- 실기응시
- 49명
- 실기합격
- 36명
- 합격률
- 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