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괴검사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안전관리 | 기술사
comment
비팍괴검사에 고도의 이론적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비파괴검사전반을 지도· 감독하며 검사방법에 대한 연구·분석·실험담당. 또한 비파괴검사와 곤련된 기술지도 및 기술자문 수행.
조선공업, 방위산업 등 고부가가치산업이 발달하면서 시험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내외부의 결함을 찾아내는 비파괴검사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가하였다.이에 따라 비파괴검사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비파괴검사실무경험이 풍부한 최고기술자를 양성하 여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수행직무
비팍괴검사에 고도의 이론적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비파괴검사전반을 지도· 감독하며 검사방법에 대한 연구·분석·실험담당.또한 비파괴검사와 곤련된 기술지도 및 기술자문 수행.
- 진로 및 전망
- 전문 비파괴검사업체, 자체 검사시설을 갖춘 조선소, 철강업체, 건설회사, 가스용기제 작업체 및 보일러제조회사 등에서 기술지도 및 기술자문을 할 수 있다.혹은 기업 체부설 및 공공기관 비파괴검사 연구소에서 연구·개발을 하거나 직접 비파괴검사전 문업체 운영하기도 한다.- 비파괴검사는 대상물을 파괴하지 않고 표면이나 내부의 구조 및 각종 결함을 찾아내 는 첨단검사방법으로서 안전성, 품질검사, 품질보증, 수명평가, 정밀성 등을 확인하 여 대형사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향후 관련 전문가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특히 비파괴검사기술사의 경우 6가지 비파괴검사방법에 대한 총체적인 전문 고급기술과 지식을 바탕으로 전문업체를 직접 경영·관리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금속공학, 금속재료공학, 재료공학, 재료금속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비파괴검사이론, 비파괴검사실무 및 장비, 금속가공학, 용접공학, 관련규격 및 법령에 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비파괴검사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22명
- 필기응시
- 15명
- 필기합격
- 10명
- 합격률
- 66.7%
- 실기접수
- 13명
- 실기응시
- 13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15.4%
2023년 비파괴검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21명
- 필기응시
- 17명
- 필기합격
- 2명
- 합격률
- 11.8%
- 실기접수
- 11명
- 실기응시
- 10명
- 실기합격
- 3명
- 합격률
- 30.0%
2022년 비파괴검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20명
- 필기응시
- 18명
- 필기합격
- 8명
- 합격률
- 44.4%
- 실기접수
- 12명
- 실기응시
- 12명
- 실기합격
- 3명
- 합격률
- 25.0%
2021년 비파괴검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9명
- 필기응시
- 17명
- 필기합격
- 6명
- 합격률
- 35.3%
- 실기접수
- 7명
- 실기응시
- 7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28.6%
2020년 비파괴검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20명
- 필기응시
- 17명
- 필기합격
- 2명
- 합격률
- 11.8%
- 실기접수
- 5명
- 실기응시
- 5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