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리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환경.에너지 | 기술사
comment
환경분야의 기술사 자격 중에서 응시자격의 해당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 경 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 의 기술업무 수행.
수질오염이란 물의 상태가 사람이 이용하고자 하는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를 말하는데 그 런 현상 중에는 물에 인, 질소와 같은 비료성분이나 유기물, 중금속과 같은 물질이 많 아진 경우 수온이 높아진 경우 등이 있다.이러한 수질오염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이에 따른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관리 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 도록 수질오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이 요구됨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환경분야의 기술사 자격 중에서 응시자격의 해당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 경 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 의 기술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정부의 환경 관련 공무원, 환경관리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 유관기관, 화공, 제약, 도금, 염색, 식품, 건설 등 오·폐수 배출업체, 전문폐수처리업체, 연구소 및 학계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수질환경보존법(법23조)」사업자는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의 정상적인 운영·관리를 위하여 환경관리인을 임명할 것을 명시하고 있어 취업에 유리하다.또한 우리나라의 환경 투자비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수질개선부분 즉, 수질관리와 상하수도 보전에 쓰여진 돈은 전체 환경투자비용의 50%를 넘으며, 이 밖에 환경기술의 연구· 개발에 많은 관심으로 이에 대한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이나 전문대학의 환경공학, 수질폐기물, 환경시스템공학, 환경공업 화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폐수 및 폐기물처리, 토양, 하천 및 해양오염, 기타 환경오염의 현상, 계획 및 관리, 방지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시험(30분 정도)⑤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수질관리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77명
- 필기응시
- 135명
- 필기합격
- 7명
- 합격률
- 5.2%
- 실기접수
- 14명
- 실기응시
- 14명
- 실기합격
- 11명
- 합격률
- 78.6%
2023년 수질관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75명
- 필기응시
- 135명
- 필기합격
- 11명
- 합격률
- 8.1%
- 실기접수
- 22명
- 실기응시
- 22명
- 실기합격
- 10명
- 합격률
- 45.5%
2022년 수질관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0명
- 필기응시
- 120명
- 필기합격
- 9명
- 합격률
- 7.5%
- 실기접수
- 24명
- 실기응시
- 24명
- 실기합격
- 12명
- 합격률
- 50.0%
2021년 수질관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51명
- 필기응시
- 124명
- 필기합격
- 25명
- 합격률
- 20.2%
- 실기접수
- 44명
- 실기응시
- 44명
- 실기합격
- 21명
- 합격률
- 47.7%
2020년 수질관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23명
- 필기응시
- 99명
- 필기합격
- 11명
- 합격률
- 11.1%
- 실기접수
- 27명
- 실기응시
- 27명
- 실기합격
- 14명
- 합격률
-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