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금형기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사
comment
단일공정 및 여러 단계의 공정에 맞게 형을 만드는 작업을 하기 위해 금형의 제작순서 와 수량을 결정하고 성형작업방법과 기계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필요한 금형세트 를 결정하며, 금형제작에 필요한 금형의 크기와 치수를 표시한 각각의 금형세트를 설계 하고, 또한 생산기계에 새로 개발한 금형세트를 설치하여 시험해 보고 재설계할 것인 지 또는 생산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
사출금형은 전형성, 유동성이 있는 재료를 녹여 형틀에 부은 후 굳혀서 제품을 만들어내 는 금형을 말한다.이러한 금형은 각종 제품을 만드는 데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그만 큼 중요한 분야이면서 정통 기계분야로서 산업발달의 기초가 된다.따라서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고품질의 제품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이를 정교하게 설계할 전문기 술인력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단일공정 및 여러 단계의 공정에 맞게 형을 만드는 작업을 하기 위해 금형의 제작순서 와 수량을 결정하고 성형작업방법과 기계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필요한 금형세트 를 결정하며, 금형제작에 필요한 금형의 크기와 치수를 표시한 각각의 금형세트를 설계 하고, 또한 생산기계에 새로 개발한 금형세트를 설치하여 시험해 보고 재설계할 것인 지 또는 생산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
- 진로 및 전망
- 금형제작업체, 자동화기계 및 설비업체, 자동차, 전기 및 전기기기생산업체, 각종 기 구설계 등 기계 및 금속제품 생산업체의 설계실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금형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전기, 전자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 기 등의 수송기계와 반도체, 통신기기, 산업기계, 정밀기계, 광학기기, 농업, 건축 용기기, 완구 등을 제조하는데 필수적으로 이용되는 만큼 그 용도는 실로 광범위하 고 다양하다.금형의 정밀도가 일반급인 사출금형의 경우 국내 기술수준이 선진국과 동등할 정도의 수준이며, 부가가치가 큰 의학 분야의 의치 및 인공 뼈 분야에 진출하 여 경쟁력을 넓히고 있다.또한 금형업체의 상당부분이 사출금형이고, 인력도 부족 한 상태여서 취업하는데 밝을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금속공학, 금속재료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금형설계2. 금형제작법3. 금형재료4. 정밀계측- 실기 : 사출금형설계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작업형(6시간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사출금형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96명
- 필기응시
- 68명
- 필기합격
- 30명
- 합격률
- 44.1%
- 실기접수
- 26명
- 실기응시
- 22명
- 실기합격
- 14명
- 합격률
- 63.6%
2023년 사출금형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88명
- 필기응시
- 62명
- 필기합격
- 16명
- 합격률
- 25.8%
- 실기접수
- 21명
- 실기응시
- 19명
- 실기합격
- 9명
- 합격률
- 47.4%
2022년 사출금형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84명
- 필기응시
- 67명
- 필기합격
- 14명
- 합격률
- 20.9%
- 실기접수
- 18명
- 실기응시
- 17명
- 실기합격
- 9명
- 합격률
- 52.9%
2021년 사출금형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85명
- 필기응시
- 61명
- 필기합격
- 19명
- 합격률
- 31.1%
- 실기접수
- 20명
- 실기응시
- 17명
- 실기합격
- 11명
- 합격률
- 64.7%
2020년 사출금형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86명
- 필기응시
- 61명
- 필기합격
- 11명
- 합격률
- 18.0%
- 실기접수
- 19명
- 실기응시
- 16명
- 실기합격
- 9명
- 합격률
-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