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사
comment
국토의 이용 및 개발, 건설공사,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각종 측량을 실시. 측량계획에 따라 실시계획과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기준점의 위치선정,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설치, 설측, 결과의 정리 및 작성 등과 같은 업무 수행.
오늘날 우리생활에 요구되는 수많은 지형 및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처리, 분석하기 위한 지상측량과 항공사진측량,인공위성에 의한 영상획득 및 원격탐사등에 대한 전문적 인 지식과 기술을 같춘 기술인력을 양성하기위하여 자격제로 제정.
- 수행직무
국토의 이용 및 개발, 건설공사,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각종 측량을 실시.측량계획에 따라 실시계획과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기준점의 위치선정,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설치, 설측, 결과의 정리 및 작성 등과 같은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정부의 도시행정 및 지역행정 관련부서,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수자원공사 등 의 정부투자기관, 각종 협회, 건설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적도 전산화, 토지기록관리 전산화 등의 토지정보체계 (LIS)구축사업과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사업, 도시정보체계(UIS)구축사업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공공부문에서만 매년 5조원 규모의 지 형공간정보 관련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캐나다는 1조3천억원 규모의 시장에 2천 여개의 업체가 GIS산업에 종사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1천억원 규모의 시장에 250 여 업체가 활동하고 있어 앞으로 발전전망이 매우 높다.또한 활용면에 있어서 도 로, 철도, 상·하수도, 가스, 전력, 통신, 재해관리, 국토공간관리 등 공공분야는 물론 물류분야, 챠량항법 분야 등 민간분야에서도 폭넓게 이용될 수 있어 이 분야 의 자격취득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도시계획학, 지역개발학, 환경공학, 토목 및 건축공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GPS)2. 응용측량3. 사진측량 및 지리정보시스템(GIS)4. 측량학5. 측량관계법규- 실기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3시간) + 작업형(1시간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4,163명
- 필기응시
- 2,404명
- 필기합격
- 816명
- 합격률
- 33.9%
- 실기접수
- 1,416명
- 실기응시
- 1,256명
- 실기합격
- 731명
- 합격률
- 58.2%
2023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537명
- 필기응시
- 2,638명
- 필기합격
- 953명
- 합격률
- 36.1%
- 실기접수
- 1,474명
- 실기응시
- 1,320명
- 실기합격
- 657명
- 합격률
- 49.8%
2022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3,655명
- 필기응시
- 2,127명
- 필기합격
- 816명
- 합격률
- 38.4%
- 실기접수
- 1,324명
- 실기응시
- 1,174명
- 실기합격
- 645명
- 합격률
- 54.9%
2021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3,383명
- 필기응시
- 2,186명
- 필기합격
- 841명
- 합격률
- 38.5%
- 실기접수
- 1,416명
- 실기응시
- 1,250명
- 실기합격
- 539명
- 합격률
- 43.1%
2020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2,574명
- 필기응시
- 1,747명
- 필기합격
- 696명
- 합격률
- 39.8%
- 실기접수
- 1,316명
- 실기응시
- 1,165명
- 실기합격
- 536명
- 합격률
-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