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기사
국가기술자격 | 전기.전자 | 기사
comment
전기철도에 대한 공학기초지식을 소지하고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송배전선로, 변전 설비 및 전선로의 시공관리 및 설계의 일부분을 담당. 또한 전기철도의 유지·보수업 무와 이에 대한 관리업무 수행.
전철망 확장으로 전기철도분야의 수송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자격을 갖춘 전문기술인력 의 수급을 촉진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이 시급하였다.또한 전기철도의 부실시공 에 따른 안전저해요인을 감소시키고 전기철도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 인력의 확보차원에서 자격제도 신설.
- 수행직무
전기철도에 대한 공학기초지식을 소지하고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송배전선로, 변전 설비 및 전선로의 시공관리 및 설계의 일부분을 담당.또한 전기철도의 유지·보수업 무와 이에 대한 관리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철도청, 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등에 취업하거나 전기철도 설계 및 감리용역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2004년 경부고속철도의 개통을 비롯한 지하철과 도시철도 및 경전철이 계속 건설되면 서 전 국토의 전철화가 가속될 전망이다.이에 따라 전기철도설비의 시공품질을 향 상시켜 사고를 줄이기 위해 자격을 갖춘 전무인력으로 하여금 변전소의 송전선로, 전 차선 등을 시공 및 안전점검을 하도록 하는 등 전문인력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 대된다.또한 기존의 전기관련 자격증소지자보다는 전기철도분야에 특화된 전문인력 을 통해 시공·설계를 하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전기과, 전기제어공학, 전기전자공학, 전자공학, 철도전기제어과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전기철도공학2. 전기철도 구조물공학3. 전기자기학4. 전력공학- 실기 : 전기철도 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1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전기철도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505명
- 필기응시
- 348명
- 필기합격
- 187명
- 합격률
- 53.7%
- 실기접수
- 226명
- 실기응시
- 207명
- 실기합격
- 83명
- 합격률
- 40.1%
2023년 전기철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85명
- 필기응시
- 338명
- 필기합격
- 146명
- 합격률
- 43.2%
- 실기접수
- 164명
- 실기응시
- 152명
- 실기합격
- 73명
- 합격률
- 48.0%
2022년 전기철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356명
- 필기응시
- 251명
- 필기합격
- 107명
- 합격률
- 42.6%
- 실기접수
- 109명
- 실기응시
- 102명
- 실기합격
- 68명
- 합격률
- 66.7%
2021년 전기철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316명
- 필기응시
- 210명
- 필기합격
- 99명
- 합격률
- 47.1%
- 실기접수
- 110명
- 실기응시
- 96명
- 실기합격
- 63명
- 합격률
- 65.6%
2020년 전기철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27명
- 필기응시
- 109명
- 필기합격
- 40명
- 합격률
- 36.7%
- 실기접수
- 61명
- 실기응시
- 54명
- 실기합격
- 29명
- 합격률
-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