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사
comment
선박의 기본적인 특성, 구조 등을 개발, 연구, 설치하기 위하여 설계계획안, 설계서 등 을 작성하며, 선박의 건조와 시험을 감독하고 중력의 중심, 이상적인 선체제작, 부력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선체의 각 부분과 수선여부를 검토하는 직무 수행.
유체역학과 고체역학을 복합적으로 응용하여 가장 안전성이 있고 저항추진성능이 우수하 면서 경제성이 좋은 선형을 찾아내는 설계작업은 조선공학의 최종적인 단계로서 고도 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이에 따라 조선공학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겸 비한 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선박의 기본적인 특성, 구조 등을 개발, 연구, 설치하기 위하여 설계계획안, 설계서 등 을 작성하며, 선박의 건조와 시험을 감독하고 중력의 중심, 이상적인 선체제작, 부력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선체의 각 부분과 수선여부를 검토하는 직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조선소, 조선해양기자재 제작회사, 해양구조물의 설계 및 제작회사, 해상수송 및 항만 장비 개발회사, 해양플랜트 및 해저석유개발회사 등 해운·해양산업 분야에 진출 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선급협회, 선박안전원, 수산진흥원, 각종 연구소 및 정부출연 기관에 취업할 수 있다.- 세계 전체의 발주규모의 감소에 따른 수주감소와 대우문제로 인한 고용감소요인이 있 었으나 일본, 노르웨이 등 경쟁국 조선업체의 구조조정에 따른 반사이익과 엔화상승 에 따른 가격경쟁력의 우위, 컴퓨터설계시스템의 도입, 강재의 안정적인 조달, 선가 회복기미가 뚜렷하고, LNG선, 해양설비 등 고부가가치선의 수주가 호조를 보이고 있 어 당분간 조선산업기사 자격취득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선박해양공학, 조선공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조선공학일반2. 조선유체역학 및 재료역학3. 선체구조학4. 조선공작법 및 선박동력장치- 실기 : 선박계산 및 전산응용 조선제도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20문항(과목당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30분) + 작업형(3시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조선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91명
- 필기응시
- 66명
- 필기합격
- 39명
- 합격률
- 59.1%
- 실기접수
- 33명
- 실기응시
- 32명
- 실기합격
- 12명
- 합격률
- 37.5%
2023년 조선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94명
- 필기응시
- 59명
- 필기합격
- 19명
- 합격률
- 32.2%
- 실기접수
- 19명
- 실기응시
- 19명
- 실기합격
- 15명
- 합격률
- 78.9%
2022년 조선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93명
- 필기응시
- 64명
- 필기합격
- 35명
- 합격률
- 54.7%
- 실기접수
- 35명
- 실기응시
- 34명
- 실기합격
- 26명
- 합격률
- 76.5%
2021년 조선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98명
- 필기응시
- 62명
- 필기합격
- 35명
- 합격률
- 56.5%
- 실기접수
- 51명
- 실기응시
- 48명
- 실기합격
- 40명
- 합격률
- 83.3%
2020년 조선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7명
- 필기응시
- 91명
- 필기합격
- 43명
- 합격률
- 47.3%
- 실기접수
- 47명
- 실기응시
- 44명
- 실기합격
- 36명
- 합격률
- 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