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사
comment
국토의 이용 및 개발, 건설공사,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각종 측량을 실시하거나 측량계 획에 따라 실시계획과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기준점의 위치선정,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 지의 설치, 설측, 결과의 정리 및 작성 등과 같은 업무 수행.
오늘날 우리생활에 요구되는 수많은 지형 및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처리, 분석하기 위한 지상측량과 항공사진측량,인공위성에 의한 영상획득 및 원격탐사등에 대한 전문적 인 지식과 기술을 같춘 기술인력을 양성하기위하여 자격제로 제정.
- 수행직무
국토의 이용 및 개발, 건설공사,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각종 측량을 실시하거나 측량계 획에 따라 실시계획과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기준점의 위치선정,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 지의 설치, 설측, 결과의 정리 및 작성 등과 같은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정부의 도시행정 및 지역행정 관련부서, 도시개발공사, 한국도로공사, 수자원공사 등 의 정부투자기관, 각종 협회, 건설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현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적도 전산화, 토지기록관리 전산화 등의 토지정보 체계(LIS)구축사업과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사업, 도시정보체계(UIS)구축사 업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 공공부문에서만 매년 5조원 규모의 지형공간정보 관련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캐나다는 1조3천억원 규모의 시장에 2 천여개의 업체가 GIS산업에 종사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1천억원 규모의 시장에 250여 업체가 활동하고 있어 앞으로 발전전망이 매우 높다.또한 활용면에 있어서 도로, 철도, 상·하수도, 가스, 전력, 통신, 재해관리, 국토공간관리 등 공공분야 는 물론 물류분야, 챠량항법 분야 민간분야에서도 폭넓게 이용될 수 있어 이 분야 의 자격취득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도시계획학, 지역개발학, 환경공학, 토목 및 건축공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응용측량2. 사진측량 및 지리정보시스템(GIS)3. 측량학4. 측량관계법규- 실기 : 측량및지형공간정보 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30분) + 작업형(1시간 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557명
- 필기응시
- 931명
- 필기합격
- 351명
- 합격률
- 37.7%
- 실기접수
- 482명
- 실기응시
- 438명
- 실기합격
- 297명
- 합격률
- 67.8%
2023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722명
- 필기응시
- 1,098명
- 필기합격
- 425명
- 합격률
- 38.7%
- 실기접수
- 582명
- 실기응시
- 521명
- 실기합격
- 356명
- 합격률
- 68.3%
2022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28명
- 필기응시
- 1,048명
- 필기합격
- 368명
- 합격률
- 35.1%
- 실기접수
- 487명
- 실기응시
- 442명
- 실기합격
- 329명
- 합격률
- 74.4%
2021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35명
- 필기응시
- 1,072명
- 필기합격
- 402명
- 합격률
- 37.5%
- 실기접수
- 520명
- 실기응시
- 481명
- 실기합격
- 327명
- 합격률
- 68.0%
2020년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38명
- 필기응시
- 736명
- 필기합격
- 345명
- 합격률
- 46.9%
- 실기접수
- 441명
- 실기응시
- 407명
- 실기합격
- 274명
- 합격률
- 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