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안전관리 | 기사
comment
산업위생관리기사는 분진측정기, 소음측정기, 진동측정기 등의 각종 측정기기를 사용 하여 사업장내 유해위험과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제반 문제점을 개선·개량·감독한다. 또한 작업자에게 산업위생보건에 관한 지도 및 교육을 실시하며 산업위생관리기사의 업무를 보조하는 직무 수행.
업무상 취급하는 원료, 부산물 또는 제품자체의 독성과 작업장의 소음, 먼지, 고열, 가스등에 의해서 난청, 진폐증, 만성중독증 등의 직업병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환경이 늘어나면서 근로자들의 인권보호와 생존권 보호차원에서 작업장의 환경측정 및 개선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소유한 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산업위생관리기사는 분진측정기, 소음측정기, 진동측정기 등의 각종 측정기기를 사용 하여 사업장내 유해위험과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제반 문제점을 개선·개량·감독한다.또한 작업자에게 산업위생보건에 관한 지도 및 교육을 실시하며 산업위생관리기사의 업무를 보조하는 직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진출 할 수 있다.- 종래 직업병 발생 등 사회문제가 야기된 후에야 수습대책을 모색하는 사후관리차원 에서 벗어나 사전의 근본적 관리제도를 도입, 산업안전보건사항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인증제도의 정착, 질병발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를 신설, 산업 인구의 중·고령화와 과중한 업무 및 스트레스 증가 등 작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부담작업 관련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병이 점차 증가, 물론 유기용 제등 유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에 따른 신종직업병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 하는 등 증가요인으로 인하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자격취득자의 고용은 증가할 예정이 나 사업주에 대한 안전·보건관련 행정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로 인하여 공공부문보 다 민간부문에서 인력수요를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보건관리학, 보건위생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필기 :1. 산업위생학 개론2.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3. 작업환경관리4. 산업환기- 실기 : 작업환경관리 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3,646명
- 필기응시
- 2,144명
- 필기합격
- 791명
- 합격률
- 36.9%
- 실기접수
- 1,343명
- 실기응시
- 1,081명
- 실기합격
- 458명
- 합격률
- 42.4%
2023년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141명
- 필기응시
- 2,445명
- 필기합격
- 868명
- 합격률
- 35.5%
- 실기접수
- 1,131명
- 실기응시
- 930명
- 실기합격
- 571명
- 합격률
- 61.4%
2022년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3,460명
- 필기응시
- 2,168명
- 필기합격
- 732명
- 합격률
- 33.8%
- 실기접수
- 1,097명
- 실기응시
- 902명
- 실기합격
- 555명
- 합격률
- 61.5%
2021년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3,127명
- 필기응시
- 2,032명
- 필기합격
- 743명
- 합격률
- 36.6%
- 실기접수
- 1,060명
- 실기응시
- 890명
- 실기합격
- 514명
- 합격률
- 57.8%
2020년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2,211명
- 필기응시
- 1,655명
- 필기합격
- 736명
- 합격률
- 44.5%
- 실기접수
- 1,305명
- 실기응시
- 1,010명
- 실기합격
- 594명
- 합격률
- 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