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사

comment

공사현장의 흙을 채취하여 여러가지 항목에 걸쳐 검사를 실시한 후 토질이 예정된 공사 에 적합한가, 혹은 적절하지 못하다면 어떤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조사 하며, 교량, 항만, 도로, 건물 등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자갈, 모래, 아스팔트, 콘크리 트 등의 품질을 배합설계도대로 강도에 일치하게 하기 위하여 혼합비율을 결정하고 공 시체를 제작하여 강도시험을 하고 견본자재를 검사하는 업무수행.

부실공사에 의한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건설현장의 기초 공사에 필요한 토질검사를 실시하고, 배합설계도의 강도와 일치하는 건설재료를 사용하 고 있는가를 검사하여 건물이나 시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요구 되어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공사현장의 흙을 채취하여 여러가지 항목에 걸쳐 검사를 실시한 후 토질이 예정된 공사 에 적합한가, 혹은 적절하지 못하다면 어떤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조사 하며, 교량, 항만, 도로, 건물 등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자갈, 모래, 아스팔트, 콘크리 트 등의 품질을 배합설계도대로 강도에 일치하게 하기 위하여 혼합비율을 결정하고 공 시체를 제작하여 강도시험을 하고 견본자재를 검사하는 업무수행.

진로 및 전망

- 건설업체 품질관리부서, 건설교통부 지정 품질검사전문기관, 건설재료시험 관련 연구 소, 콘크리트파일 등 건설자재 생산공장, 레미콘 및 아스콘 생산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의 고용은 건설경기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제통화기금 관리체제 이후에 공사량이 감소하면서 신규취업은 물론이고 기존 취업자도 고용이 불 안정한 형편이었다.그러나 중급기술 정도의 시험원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으로 향 후 경쟁체제에 의한 건설 고품질화가 계속 추진되고, 건설기술관리법도 더욱 강화됨 에 따라 숙련된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토목공학, 건축공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콘크리트공학2. 건설재료 및 시험3. 건설시공학4. 토질 및 기초- 실기 : 토질 및 건설재료 시험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30분) + 작업형(3시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610명
필기응시
371명
필기합격
109명
합격률
29.4%
실기접수
148명
실기응시
131명
실기합격
50명
합격률
38.2%
2023년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668명
필기응시
440명
필기합격
137명
합격률
31.1%
실기접수
137명
실기응시
125명
실기합격
93명
합격률
74.4%
2022년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690명
필기응시
424명
필기합격
135명
합격률
31.8%
실기접수
160명
실기응시
144명
실기합격
100명
합격률
69.4%
2021년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722명
필기응시
438명
필기합격
118명
합격률
26.9%
실기접수
138명
실기응시
119명
실기합격
87명
합격률
73.1%
2020년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455명
필기응시
316명
필기합격
110명
합격률
34.8%
실기접수
147명
실기응시
128명
실기합격
92명
합격률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