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안전관리 | 기사
comment
침투비파괴검사에 관한 상급숙련기능을 가지고 이에 관련되는 지도적 기능업무 수행. 모세관의 원리를 이용하는 검사방법으로 검사대사물 표면에 침투액을 적용시켜 균열등 의 불연속부에 과잉의 침투제를 제거하고 현상제를 적용시켜 침투된 침투액을 추출시 켜 불연속부의 위치, 크기 및 지시모양을 검사.
금속재료 및 용접일반, 침투탐상시험원리 등에 대한 기술기초지식과 비파괴검사에 대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침투비파괴검사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 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침투비파괴검사에 관한 상급숙련기능을 가지고 이에 관련되는 지도적 기능업무 수행.모세관의 원리를 이용하는 검사방법으로 검사대사물 표면에 침투액을 적용시켜 균열등 의 불연속부에 과잉의 침투제를 제거하고 현상제를 적용시켜 침투된 침투액을 추출시 켜 불연속부의 위치, 크기 및 지시모양을 검사.
- 진로 및 전망
- 비파괴전문용역업체, 공인검사기관, 전선생산업체, 자체검사시설을 갖춘 조선소, 정유 회사, 유류저장시설 시공업체, 가스용기제작업체, 보일러제조회사, 항공기 생산업체 의 비파괴검사부서, 혹은 각종업체의 품질관리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침투비파괴검사는 주강품, 단조품과 같은 금속재료뿐망 아니라 세라믹, 프라스틱, 유 리와 같은 비금속 재료에도 이용할 수 있고, 시험체의 형상이 복잡하여도 검사가 가 능하기 때문에 현장적용이 용이한 편이다.이러한 이유로 침투비파괴검사의 이용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장비를 숙련되게 다룰 수 있고 검사결과의 판 독을 정확히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수요도 동시에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자격취득 후에는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으로, 「산업안전 보건법」에 의해 산업체의 기계·기구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검사자로 고용될 수 있 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물리, 기계, 화공, 재료, 전자, 전기, 금속, 에너지, 조선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일반사설학원④ 시험과목- 필기 :1. 침투탐상시험원리2. 침투탐상검사3. 침투탐상관련규격 및 컴퓨터활용4. 금속재료 및 용접일반- 실기 : 침투탐상시험⑤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 작업형(1시간정도)]⑥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60점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044명
- 필기응시
- 677명
- 필기합격
- 320명
- 합격률
- 47.3%
- 실기접수
- 584명
- 실기응시
- 482명
- 실기합격
- 167명
- 합격률
- 34.6%
2023년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138명
- 필기응시
- 721명
- 필기합격
- 385명
- 합격률
- 53.4%
- 실기접수
- 582명
- 실기응시
- 513명
- 실기합격
- 263명
- 합격률
- 51.3%
2022년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145명
- 필기응시
- 739명
- 필기합격
- 452명
- 합격률
- 61.2%
- 실기접수
- 673명
- 실기응시
- 598명
- 실기합격
- 295명
- 합격률
- 49.3%
2021년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29명
- 필기응시
- 701명
- 필기합격
- 435명
- 합격률
- 62.1%
- 실기접수
- 666명
- 실기응시
- 576명
- 실기합격
- 218명
- 합격률
- 37.8%
2020년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882명
- 필기응시
- 648명
- 필기합격
- 413명
- 합격률
- 63.7%
- 실기접수
- 565명
- 실기응시
- 502명
- 실기합격
- 222명
- 합격률
-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