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건설기계정비기능장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능장

comment

건설기계정비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건설기계정비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지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리자로서의 역할업무를 수행.

도로, 항만, 댐, 고층건물 등 국내외 건설공사의 증가와 더불어 건설기계분야는 대형화, 다기능화, 전자기술을 이용한 고성능화가 이루어지는 등 기계의 종류 및 용도, 기술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이에 따라 건설시공의 기계화를 추진시키고 건설사 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건설기계정비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최고 수준의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을 제정.

수행직무

건설기계정비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건설기계정비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지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리자로서의 역할업무를 수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건설기계제작업체, 건설기계정비업체, 검사업체, 대여업체, 건설업체 등에 진출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도 진출할 수 있다.「건설기계관리법」에 의한 건설기계검사대행업체의 건설기계검사주임, 건설기계제작·조립업체의 건설기계제작·조립기술자, 건설기계구조성능시험기관의 건설기계구조성능시험반장, 건설기계정비업소의 건설기계정비기술자, 건설기계매매협회의 중고건설기계성능점검기술자나,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등으로 고용될 수 있다.- 건설기계정비분야는 건설기계의 직접적인 사용대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건설경기에 매우 민감한 편이다.「건설기계관리법」의 검사관련규제 등에도 영향을 받게 되지만 건설기계 자체가 점차 대형화, 정밀화됨에 따라 어느정도의 기본적인 인력수요는 상존할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아직까지 국내에는 최고수준의 숙련기능을 갖춘 인력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이들 자격취득자의 전망은 밝아 보인다.한편 건설기계정비분야는 건설기계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각 기계마다 빠른 속도로 개량되고 있어서 자격취득 후에도 기술변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훈련기관 : 공공직업훈련원, 사업체내직업훈련원, 인정직업훈련원 또는 일반사설학원③ 시험과목- 필기 : 건설기계정비, 안전관리,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실기 : 건설기계정비 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6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30분 + 작업형,6시간30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건설기계정비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245명
필기응시
218명
필기합격
103명
합격률
47.2%
실기접수
140명
실기응시
122명
실기합격
27명
합격률
22.1%
2023년 건설기계정비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246명
필기응시
219명
필기합격
105명
합격률
47.9%
실기접수
141명
실기응시
121명
실기합격
54명
합격률
44.6%
2022년 건설기계정비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216명
필기응시
191명
필기합격
82명
합격률
42.9%
실기접수
137명
실기응시
122명
실기합격
17명
합격률
13.9%
2021년 건설기계정비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212명
필기응시
192명
필기합격
89명
합격률
46.4%
실기접수
129명
실기응시
113명
실기합격
14명
합격률
12.4%
2020년 건설기계정비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160명
필기응시
146명
필기합격
53명
합격률
36.3%
실기접수
109명
실기응시
100명
실기합격
22명
합격률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