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선기능장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능장
comment
제선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의 업무 수행.
제선을 철광석, 코크스 등의 원료를 용광로에 장입하고 송풍량조절 등의 공정인자를 제 어함으로써 양질의 철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원료의 예비처리 단계로서 중요한 숙 련 기능은 철광석의 선광·소결작업, 장입물의 입도조정작업 및 광석의 자용성을 이용 한 공정제어작업이다.철강산업의 발달로 제선에 대한 인력을 양성하고 또 이들을 지 도·감독할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제선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의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용광로(BF)가 있는 제철소에서 용광로 조업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감독업무를 담당 할 수 있다.- 철광석에서 최종 제품인 강재를 만들기까지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지만 크게 제선, 제강, 압연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제선공정은 선철을 만드는 공정으로 철 강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제철소의 상징인 용광로에 철광석, 코크 스 등의 주원료와 석회석, 망간 등 부원료를 넣고 고온의 온풍을 불어 넣으면 코크스 가 타고 그 열에 의하여 철광석이 녹아 쇳물이 생산되는데 이것을 선철이라고 한 다.제선기능장은 금속재료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함께 제선조업전반에 대한 최고 의 숙련기능인력으로 인정받으면서 활동한다.근로자의 안전한 조업을 위한 지도· 감독을 포함해 제선공정 전반을 현장에서 관리하면서 동시에 고위임원의 위치에 진출 할 수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교육 및 훈련기관의 금속과, 재료과, 금속재료과, 재료정보과, 재료응용과, 신소재과 등③ 훈련기관 : 기능대학의 기능장 과정④ 시험과목- 필기 : 제선이론, 제선조업, 금속재료 및 안전관리, 자동생산시스템,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실기 : 제선 실무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필답형(2시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제선기능장 합격률
- 필기접수
- 867명
- 필기응시
- 743명
- 필기합격
- 471명
- 합격률
- 63.4%
- 실기접수
- 751명
- 실기응시
- 612명
- 실기합격
- 300명
- 합격률
- 49.0%
2023년 제선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889명
- 필기응시
- 806명
- 필기합격
- 560명
- 합격률
- 69.5%
- 실기접수
- 834명
- 실기응시
- 718명
- 실기합격
- 427명
- 합격률
- 59.5%
2022년 제선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879명
- 필기응시
- 777명
- 필기합격
- 590명
- 합격률
- 75.9%
- 실기접수
- 706명
- 실기응시
- 620명
- 실기합격
- 400명
- 합격률
- 64.5%
2021년 제선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785명
- 필기응시
- 714명
- 필기합격
- 558명
- 합격률
- 78.2%
- 실기접수
- 768명
- 실기응시
- 693명
- 실기합격
- 414명
- 합격률
- 59.7%
2020년 제선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346명
- 필기응시
- 313명
- 필기합격
- 233명
- 합격률
- 74.4%
- 실기접수
- 359명
- 실기응시
- 299명
- 실기합격
- 172명
- 합격률
- 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