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제강기능장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능장

comment

제강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의 업무 수행. 특히 제강작업현장은 용강을 취급하기 때문에 세심한 안전교육을 하는 것 이 중요.

중공업이 발달함에 따라 제강은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산업분야로서 특히 전로 와 전기로 및 연속주조 등 부분에 있어서의 기능인 육성이 많이 요청되고 있어 전 문화된 최상급의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제강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의 업무 수행.특히 제강작업현장은 용강을 취급하기 때문에 세심한 안전교육을 하는 것 이 중요.

진로 및 전망

- 제철 및 제강업체, 그 외 제강로를 취급하는 분야,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분야, 강 제조 및 조괴제조업무를 담당하는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제강은 선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강을 만드는 공정으로 전로, 전기로, 연속주조 등에 의한 방법으로 만든다.우리나라의 철강산업은 최신설비에 의한 높은 설비효율 설, 안정된 조업기술, 숙련된 기술인력을 바탕으로 가격 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 하고 있다.제강기능장은 제강공정에서의 최상급 숙련기능소지자로규모가 큰 업체에 서는 임원으로서 관리자의 역할도 병행하고 있으며 철강산업의 발전과 함께 국제경쟁 력을 높일 수 있는 고급강의 생산에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교육 및 훈련기관의 금속과, 재료과, 금속재료과, 재료정보과, 재료응용과, 신소재과 등③ 훈련기관 : 기능대학의 기능장 과정④ 시험과목- 필기 : 제강이론, 제강조업, 금속재료 및 안전관리, 자동생산시스템,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실기 : 제강 실무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필답형(2시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제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773명
필기응시
665명
필기합격
342명
합격률
51.4%
실기접수
591명
실기응시
494명
실기합격
270명
합격률
54.7%
2023년 제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725명
필기응시
630명
필기합격
471명
합격률
74.8%
실기접수
950명
실기응시
828명
실기합격
435명
합격률
52.5%
2022년 제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758명
필기응시
680명
필기합격
529명
합격률
77.8%
실기접수
937명
실기응시
805명
실기합격
240명
합격률
29.8%
2021년 제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860명
필기응시
795명
필기합격
596명
합격률
75.0%
실기접수
784명
실기응시
673명
실기합격
392명
합격률
58.2%
2020년 제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424명
필기응시
385명
필기합격
276명
합격률
71.7%
실기접수
519명
실기응시
435명
실기합격
153명
합격률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