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운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운전.운송 | 기능사
comment
동력경운기,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방제기 및 양수기 등과 같은 농기계를 운전, 조작하는 업무 수행.
우리나라의 농업기계화를 위해서는 필요한 농기계의 생산과 보급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 지 않게 보급된 농기계를 합리적으로 사용, 관리, 운영할 수 있는 농기계 기능인력의 양성도 필요하다.이에 따라 안전하고 효율적인 농기계 사용을 도모하여 영농기계화 를 앞당기고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문화된 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 도 도입.
- 수행직무
동력경운기,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방제기 및 양수기 등과 같은 농기계를 운전, 조작하는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주로 자영농, 기업영농, 축산업, 낙농업, 농업기계대리점, 농업기계 생산업체의 조 립 및 시험부서, 농업기계정비업체 등에 진출할 수 있다.- 농업부문 취업자수 추이를 보면 1998년 경기하락에 따른 역이농현상에 따라 일시적 으로 증가세를 보인 것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이런 원인 중의 하 나는 기계화에 따른 노동력절감도 한 몫을 차지한다.참고로 1998년말 현재 농기 계화율은 건조작업을 제외한 모든 작업분야에서 95%이상의 높은 수준에 도달하고 있 다(농림부 농업정보통계관실, '98 농기계이용수지 및 농업기계화율 조사결과, 1999 참조).현대 농업은 이처럼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바인더, 관리기, 트랙 터 등 다양한 농업기계가 많이 사용되어 기계 중심으로 바뀌어가고 있다.이들 농 업기계 운전자들 대부분은 거의 대부분이 자영농인데, 자격증없이 스스로 배워 운전 하는 경우가 많다.이에 따라 전문적으로 자격을 취득하는 인원은 드믄 편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농업기계, 농업중장비 관련과③ 시험과목- 필기 : 1.농기계운전 2.농기계전기 3.농기계안전관리- 실기 : 농기계운전 작업④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2시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농기계운전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535명
- 필기응시
- 1,296명
- 필기합격
- 855명
- 합격률
- 66.0%
- 실기접수
- 936명
- 실기응시
- 792명
- 실기합격
- 493명
- 합격률
- 62.2%
2023년 농기계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744명
- 필기응시
- 1,457명
- 필기합격
- 950명
- 합격률
- 65.2%
- 실기접수
- 911명
- 실기응시
- 780명
- 실기합격
- 467명
- 합격률
- 59.9%
2022년 농기계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503명
- 필기응시
- 1,241명
- 필기합격
- 765명
- 합격률
- 61.6%
- 실기접수
- 878명
- 실기응시
- 708명
- 실기합격
- 429명
- 합격률
- 60.6%
2021년 농기계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06명
- 필기응시
- 1,349명
- 필기합격
- 869명
- 합격률
- 64.4%
- 실기접수
- 910명
- 실기응시
- 772명
- 실기합격
- 466명
- 합격률
- 60.4%
2020년 농기계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63명
- 필기응시
- 878명
- 필기합격
- 574명
- 합격률
- 65.4%
- 실기접수
- 710명
- 실기응시
- 587명
- 실기합격
- 328명
- 합격률
-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