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제선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능사

comment

철강석 및 기타 원료를 예비 처리(파쇄, 체질, 선광, 가소, 배소, 소결, 펠리타이징, 균 광)한 후 용광로에 넣어 각종 부대시설(송풍기, 열풍로, 가스제진기, 청정기)로 용해 환원하여 융융 선철을 생산하는 작업 수행.

철광석에서 최종제품인 강재를 만들기까지의 공정은 크게 제선, 제강, 압연의 단계로 구 분할 수 있는데 이중 제선작업은 선철을 만드는 것으로 철강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 을 하는 작업이다.이에 자격제도를 신설하여 철강산업의 발달로 증가하고 있는 숙련 기능인력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함.

수행직무

철강석 및 기타 원료를 예비 처리(파쇄, 체질, 선광, 가소, 배소, 소결, 펠리타이징, 균 광)한 후 용광로에 넣어 각종 부대시설(송풍기, 열풍로, 가스제진기, 청정기)로 용해 환원하여 융융 선철을 생산하는 작업 수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용광로(BF)가 있는 제철소에서 제선업무를 담당하는 분야에 취업한다.- 대규모의 제철소에서는 자격증 소지자를 채용시 우대하기때문에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취업에 유리하다.그리고 취득 자격증의 해당 분야로 우선 배치를 한다.또 한 현업에 종사하면서 경력을 인정받고 능력을 개발하는 차원에서 상위 자격을 취득 하기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들도 많다.그러나 제선 공정은 용광로가 있는 제 철소에 한해 종사하므로 취업분야가 제한적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금속과, 금속재료과, 재료응용과, 재료정보과, 신소재과 등③ 훈련기관 : 사업체내 직업훈련과정④ 시험과목- 필기 : 1.금속재료일반 2.금속제도 3.제선법 4.소결법- 실기 : 제선 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30분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제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006명
필기응시
1,510명
필기합격
633명
합격률
41.9%
실기접수
911명
실기응시
637명
실기합격
284명
합격률
44.6%
2023년 제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543명
필기응시
1,136명
필기합격
487명
합격률
42.9%
실기접수
738명
실기응시
515명
실기합격
206명
합격률
40.0%
2022년 제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226명
필기응시
928명
필기합격
346명
합격률
37.3%
실기접수
638명
실기응시
455명
실기합격
181명
합격률
39.8%
2021년 제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359명
필기응시
1,093명
필기합격
541명
합격률
49.5%
실기접수
849명
실기응시
591명
실기합격
142명
합격률
24.0%
2020년 제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997명
필기응시
1,567명
필기합격
785명
합격률
50.1%
실기접수
1,145명
실기응시
887명
실기합격
151명
합격률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