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기능사

comment

* 제품의 기능구조 설계, 조립 등 기술적 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의 모형을 제작하 는 직무수행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의 역할은 산업생산방식에 의하여 양산될 제품의 원형(prototype) 이나 제품 모형(mock-up)을 정확하고도 경제적으로 재현할 수 있어야 하며, 제품디자이 너를 포함한 디자이너(혹은 설계자)가 제공하는 정성적인 디자인 컨셉트(concept)와 정 량적인 디자인 사양(specification)을 최적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제품응용모델링 기능사에게 기대되는 세부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제품디자이너를 포함한 디자이너(혹은 설계자)가 의도하는 디자인 사양들을 정확하 게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 제품디자이너를 포함한 디자이너(혹은 설계자)가 의도하는 디자인 컨셉트를 열린 시 각으로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 제품디자인분야에서 통용되는 디자인 규격(표준)에 관한 정확하고도 폭넓은 이해가 있어야 한다. - 특히 재료에 관한 질감(texture)과 물리적 성질(physical properties)간의 상관적 체험치가 탁월하여야 한다. - 경제적이고도 합리적인 제품모형제작과정을 구현할 수 있는 공정설계가로서의 실력 이 있어야 한다. - 제품모형제작과 관련된 경험을 체계화할 수 있어야 한다.

제품개발 관련 산업현장은 제품모델링 관련분야의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주요 기업 의 디자인 개발 부서에서는 전문 디자이너와 함께 모델링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그러나 해당인력을 객관적 방법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미비하여 기본 적인 조형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를 통하여 제품 및 산업디자인 관련한 다양한 모 델링의 능력으로 수준 높은 제품모델링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지식과 실기능력을 갖 춘 전문 인력이 요구되어 현장에서 필요로하는 전문 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 제품의 기능구조 설계, 조립 등 기술적 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의 모형을 제작하 는 직무수행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의 역할은 산업생산방식에 의하여 양산될 제품의 원형(prototype) 이나 제품 모형(mock-up)을 정확하고도 경제적으로 재현할 수 있어야 하며, 제품디자이 너를 포함한 디자이너(혹은 설계자)가 제공하는 정성적인 디자인 컨셉트(concept)와 정 량적인 디자인 사양(specification)을 최적화 할 수 있어야 한다.제품응용모델링 기능사에게 기대되는 세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제품디자이너를 포함한 디자이너(혹은 설계자)가 의도하는 디자인 사양들을 정확하 게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제품디자이너를 포함한 디자이너(혹은 설계자)가 의도하는 디자인 컨셉트를 열린 시 각으로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제품디자인분야에서 통용되는 디자인 규격(표준)에 관한 정확하고도 폭넓은 이해가 있어야 한다.- 특히 재료에 관한 질감(texture)과 물리적 성질(physical properties)간의 상관적 체험치가 탁월하여야 한다.- 경제적이고도 합리적인 제품모형제작과정을 구현할 수 있는 공정설계가로서의 실력 이 있어야 한다.- 제품모형제작과 관련된 경험을 체계화할 수 있어야 한다.

진로 및 전망

- 제품응용모델링의 업무 영역은 제품디자인 및 산업디자인 전분야와 기계, 전기, 전자 산업의 일부분야에 광범위하게 걸쳐 있다.제품디자인 직종을 기준으로 통신기기 제 조업체, 컴퓨터 및 응용기기 제조업체의 경우 주로 외부 콘트롤보드 인간공학적인 사 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와 몸체 외관의 형태와 구조 설계에서 주요 활동을 벌이고 있으 며 기계 제품의 경우 역시 구조 및 외관 형태정리와 조작 안전성과 편의성에 중점을 맞추어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소비제품 디자인의 경우 시장조사와 소비자 선호도 취 향조사 자료의 분석과 이의 시각화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제품 모델링기능사의 역할은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제품응용모델링을 중심적 직무로 하는 사원을 채용하는 곳은 제품모델 전문제작 업체 정도며 대부분은 일반 중견기업 이상 규모 업체의 제품개발과정에서 보조 직무 로 제품응용모델링을 수행한다.제품응용모델링 기능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제품개발 연구 및 시작실 취업 - 디자인 관련부서 취업 - 제품모형 전문업체 창업 - 제품모형 전문제작업체 취업■ 인력양성기관 1) 인천직업전문학교 제품응용모델링과- 소재지 : 인천 남구 주안 5동 1389-2번지- 관련학과 : 멀티미디어제작과, 컴퓨터출판디자인과 2) 충북직업전문학교 제품응용모델링과-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주덕읍 삼청리 220번지- 관련학과 : 멀티미디어제작과 3) 강원직업전문학교 제품응용모델링과- 소재지 :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 72번지 4) 기타 대학, 전문대학, 기능대학 등의 산업디자인학과에서 모형제작실습을 병행하 고 있으며, 2002년 12월 현재, 제품응용모델링과를 개설한 직업전문학교는 위 3곳 에 불과하나, 가구제작 혹은 실내디자인 관련 학과들이 제품응용모델링(공)과로 직 종이 전환되고 있는 추세임 ■ 관련직업 : 제품모형제작원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시험과목- 필기 :1. 제품디자인일반,2. 제도와 CAD,3. 모델링재료,4. 제품응용모델링- 실기 : 제품응용모델링 실무③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7시간 정도)④ 합격기준- 필기 : 100점 만점 60점 이상- 실기 : 100점 만점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5명
필기응시
22명
필기합격
17명
합격률
77.3%
실기접수
21명
실기응시
18명
실기합격
16명
합격률
88.9%
2023년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2명
필기응시
19명
필기합격
15명
합격률
78.9%
실기접수
22명
실기응시
21명
실기합격
18명
합격률
85.7%
2022년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8명
필기응시
22명
필기합격
20명
합격률
90.9%
실기접수
28명
실기응시
20명
실기합격
17명
합격률
85.0%
2021년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39명
필기응시
27명
필기합격
20명
합격률
74.1%
실기접수
43명
실기응시
39명
실기합격
23명
합격률
59.0%
2020년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37명
필기응시
31명
필기합격
24명
합격률
77.4%
실기접수
83명
실기응시
79명
실기합격
65명
합격률
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