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능사
comment
건축물 내부의 장식·방음·실용성 제고를 목적으로 각종 자재를 이용하여 방음 설비· 마루·칸막이·천정·목(木)장식품 등을 제작·설치한다.
실내공간은 기능적 조건뿐만 아니라, 인간의 예술적, 정서적 욕구의 만족까지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 실내공간을 계획하는 의장분야는 환경에 대한 이해와 건축적 이해를 바탕 으로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이에 따라 건축의장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 수행직무
건축물 내부의 장식·방음·실용성 제고를 목적으로 각종 자재를 이용하여 방음 설비· 마루·칸막이·천정·목(木)장식품 등을 제작·설치한다.
- 진로 및 전망
- 건축설계사무실, 건설회사, 인테리어사업부, 인테리어전문업체, 백화점, 방송국, 모 델하우스 전문시공업체, 디스플레이전문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실내건축산업기사의 인력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다.의장공사협의회의 자료를 보면 1999년 1월 현재 면허업체가 1,813개사, 1997년 기성실적이 2조 3753억 67백만원 에 이르며, 2000년 이후 실내건축 시장은 국내경제의 회복에 따른 수요증대 및 ASEM 정상회의(2000)에 따른 회의장 및 부속시설, 영종도 신공항건설(2000), 부 산아시안게임 관련공사(2002), 월드컵(2002) 주경기장과 부대시설공사 등 대규모 국가단위 행사 또는 국책사업 등에 의해 새로운 도약기를 맞았다.이밖에 실내건 축은 창의적인 능력과 경험을 토대로 하는 지식산업의 하나로 상당한 부가가치를 창 출할 수 있으며, 실내공간의 용도가 전문적이고도 특별한 기능이 요구되는 상업공 간, 주거공간, 전시공간, 사무공간, 의료공간, 예식공간, 교육공간, 스포츠·레저 공간, 호텔, 테마파크 등 업무영역의 확대로 실내건축기능사의 인력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다.또한 경쟁도 심화되어 고도의 전문지식 습득 및 서비스정신, 일에 대한 정열은 필수적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인테리어디자인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필기 : 1.실내디자인 2.실내환경 3.실내건축재료 4.건축일반- 실기 : 실내건축 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5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이상 득점자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실내건축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4,995명
- 필기응시
- 4,069명
- 필기합격
- 2,667명
- 합격률
- 65.5%
- 실기접수
- 2,547명
- 실기응시
- 1,982명
- 실기합격
- 1,534명
- 합격률
- 77.4%
2023년 실내건축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5,173명
- 필기응시
- 4,123명
- 필기합격
- 2,754명
- 합격률
- 66.8%
- 실기접수
- 2,652명
- 실기응시
- 2,072명
- 실기합격
- 1,451명
- 합격률
- 70.0%
2022년 실내건축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5,247명
- 필기응시
- 4,197명
- 필기합격
- 2,765명
- 합격률
- 65.9%
- 실기접수
- 2,606명
- 실기응시
- 1,927명
- 실기합격
- 1,324명
- 합격률
- 68.7%
2021년 실내건축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4,941명
- 필기응시
- 4,058명
- 필기합격
- 2,652명
- 합격률
- 65.4%
- 실기접수
- 2,533명
- 실기응시
- 2,025명
- 실기합격
- 1,383명
- 합격률
- 68.3%
2020년 실내건축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3,374명
- 필기응시
- 2,698명
- 필기합격
- 1,928명
- 합격률
- 71.5%
- 실기접수
- 2,014명
- 실기응시
- 1,618명
- 실기합격
- 1,149명
- 합격률
- 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