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환경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환경.에너지 | 기능사
comment
광업폐기물, 광물찌꺼기 등 광산환경의 오염물질을 조사하고 각종 시험방법을 통해 실험 ·분석실시한 후 처리하는 작업수행, 또한 먼지의 날림, 소음, 진동 등을 측정 하고 갱수 또는 폐수의 배출과 관련한 발생시설 및 처리시설의 안전한 관리 담당.
석탄광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정확한 분석과 처리를 통해 주변자연환경의 오염을 방 지하고 일반광산에서 비철금속인 아연, 납 등의 채굴로 인해 용출되는 유해물질 및 부 유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하고자 광산환경분야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춘 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광업폐기물, 광물찌꺼기 등 광산환경의 오염물질을 조사하고 각종 시험방법을 통해 실험 ·분석실시한 후 처리하는 작업수행, 또한 먼지의 날림, 소음, 진동 등을 측정 하고 갱수 또는 폐수의 배출과 관련한 발생시설 및 처리시설의 안전한 관리 담당.
- 진로 및 전망
- 석탄광산과 일반광산에서 광산내 환경문제를 취급할 수 있다.- 아연이나 납 등을 채굴하는 일반광의 경우 청산가리 등 시안화물이 배출되어 중금 속 중독 등 위험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따라서 이러한 광산내의 환경유해정도를 측정하고 처리하는 인력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하지만 석탄의 수요 감소로 폐광이 증가하고 있고 광산에서만 적용되는 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어 자격취 득자의 큰 폭의 수요증가는 예상되지 않는다.단, 유효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에 서 소수의 자격취득자를 선임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자격응시자들의 대부분이 광 산분야에 신규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아닌 기존 광산종사자들이 대부분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화학과, 화학공업과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필기 : 광산환경관련 일반- 실기 : 광산환경 오염물질조사 및 처리방법④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60분)- 실기 : 작업형(1시간 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광산환경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2명
- 필기응시
- 9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0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3년 광산환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명
- 필기응시
- 10명
- 필기합격
- 1명
- 합격률
- 10.0%
- 실기접수
- 1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2년 광산환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8명
- 필기응시
- 5명
- 필기합격
- 1명
- 합격률
- 20.0%
- 실기접수
- 1명
- 실기응시
- 1명
- 실기합격
- 1명
- 합격률
- 100.0%
2021년 광산환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7명
- 필기응시
- 5명
- 필기합격
- 1명
- 합격률
- 20.0%
- 실기접수
- 0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0년 광산환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8명
- 필기응시
- 3명
- 필기합격
- 1명
- 합격률
- 33.3%
- 실기접수
- 1명
- 실기응시
- 1명
- 실기합격
- 1명
- 합격률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