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가공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인쇄.목재.가구.공예 | 기능사
comment
귀금속 및 보석의 종류와 특성 등 관련지식을 바탕으로 제작도면 또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각종 수공구와 장비를 이용하여 각종 귀금속 장신구를 가공 및 제작, 또한 수리 업무 담당
장신구뿐만 아니라 귀금속을 이용한 각종 공예품의 활용과 소비가 늘어나면서 귀금속 가공에 대한 숙련기능을 소지한 인력양성이 필요하였다.귀금속 재료 및 귀금속 가공 전반에 대한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귀금속 가공제품을 제작하고 또한 수리·보수 할 수 있는 능력을 공인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귀금속 및 보석의 종류와 특성 등 관련지식을 바탕으로 제작도면 또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각종 수공구와 장비를 이용하여 각종 귀금속 장신구를 가공 및 제작, 또한 수리 업무 담당
- 진로 및 전망
- 귀금속공방, 금은세공업체, 귀금속가공업체, 장신구류제조업체 및 판매업체, 귀금속 판매업체 등에 취업하거나 자영업을 할 수 있다.- 전북 익산에 귀금속·보석가공공단을 설치하는 등 귀금속가공산업이 수출전략산업으 로 육성됨에 따라 숙련기능인력의 수요는 꾸준할 전망이어서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그러나 정교하고 꼼꼼한 가공능력, 미적감각 등이 자격증 취득여부 보다 취업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어 아직까지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절대적이지는 않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금은세공과 등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산하직업전문학교, 일반 사설학원④ 시험과목- 필기 : 1.공예디자인 2.귀금속재료 3.귀금속가공- 실기 : 귀금속가공 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60분)- 실기 : 작업형(6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귀금속가공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377명
- 필기응시
- 321명
- 필기합격
- 203명
- 합격률
- 63.2%
- 실기접수
- 297명
- 실기응시
- 272명
- 실기합격
- 203명
- 합격률
- 74.6%
2023년 귀금속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228명
- 필기응시
- 195명
- 필기합격
- 124명
- 합격률
- 63.6%
- 실기접수
- 193명
- 실기응시
- 187명
- 실기합격
- 161명
- 합격률
- 86.1%
2022년 귀금속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244명
- 필기응시
- 222명
- 필기합격
- 142명
- 합격률
- 64.0%
- 실기접수
- 334명
- 실기응시
- 308명
- 실기합격
- 257명
- 합격률
- 83.4%
2021년 귀금속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381명
- 필기응시
- 340명
- 필기합격
- 231명
- 합격률
- 67.9%
- 실기접수
- 394명
- 실기응시
- 369명
- 실기합격
- 308명
- 합격률
- 83.5%
2020년 귀금속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336명
- 필기응시
- 291명
- 필기합격
- 181명
- 합격률
- 62.2%
- 실기접수
- 392명
- 실기응시
- 380명
- 실기합격
- 348명
- 합격률
- 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