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버섯종균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능사

comment

버섯종균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버섯 원균을 증식시켜 접종원을 만들고, 톱밥, 볍집 등에 접종원을 투입하여 순수하게 배양·증식시켜, 버섯재배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우 량한 버섯종균을 제조하는 직무수행.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원균을 배양, 증식시켜 접종원을 만들고, 그 접종원을 배지에 배양하여 종균을 만드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한다.우량 버섯종균의 생산과 버섯 재배기술을 개발·보급하여 농가부업과 소득증대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지능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수행직무

버섯종균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버섯 원균을 증식시켜 접종원을 만들고, 톱밥, 볍집 등에 접종원을 투입하여 순수하게 배양·증식시켜, 버섯재배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우 량한 버섯종균을 제조하는 직무수행.

진로 및 전망

- 자영업에 종사하거나, 버섯재배업체, 버섯종균업체에 진출할 수 있다.「종자산업법」 에 따라 종자관리사로 진출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버섯의 종류는 12종에 불과하나 일본에서는 25종이 대량 생산되고 있다.버섯재배는 소득이 높아 농가 소득작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국민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버섯이 고급식품이면서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기호식품인 버섯 을 선호하게 되어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버섯은 세계적으로 매년 12%씩 증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버섯 소비량이 외국 보다는 낮으나 생산, 소비가 매년 4%씩 증가되고 있어 앞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버섯재배지역은 전국적으로 분산되어 있고, 품목별로 조직체 육성이 미흡다고 대규모 농가도 부족한 실정이다.재배방식도 종전까지 수작업 재배와 같이 하우스재배방식이 었으나, 최근에는 버섯재배사가 조립식, 블록식으로 바뀌고, 환경(온도, 습도)조절 도 자동화되는 추세이다.앞으로는 공장재배로 바뀔 것으로 예측되어 초음파가습기, 열교환기, CO₂측정 및 제어기, 냉동기를 이용한 과학적인 재배공법이 보편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따라서 우수한 종균보급의 필요성도 증가될 것이며, 많은 기술 개발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최근 응시자수가 크게 증가하고 합격자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농업계 고등학교의 농업과 임업과, 농업경영과.③ 시험과목- 필기 : 1.종균제조 2.버섯재배- 실기 : 버섯종균작업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60분)- 실기 : 작업형(3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자

년도별 합격률
2024년 버섯종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511명
필기응시
1,263명
필기합격
684명
합격률
54.2%
실기접수
772명
실기응시
717명
실기합격
628명
합격률
87.6%
2023년 버섯종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704명
필기응시
1,390명
필기합격
783명
합격률
56.3%
실기접수
815명
실기응시
774명
실기합격
681명
합격률
88.0%
2022년 버섯종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771명
필기응시
1,419명
필기합격
868명
합격률
61.2%
실기접수
967명
실기응시
901명
실기합격
750명
합격률
83.2%
2021년 버섯종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027명
필기응시
1,687명
필기합격
1,002명
합격률
59.4%
실기접수
1,137명
실기응시
1,045명
실기합격
932명
합격률
89.2%
2020년 버섯종균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4,059명
필기응시
3,168명
필기합격
1,584명
합격률
50.0%
실기접수
2,056명
실기응시
1,935명
실기합격
1,403명
합격률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