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지게차운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능사

comment

생산현장이나 창고, 부두 등에서 경화물을 적재, 하역 및 운반하기 위하여 지게차를 운 전하며, 점검과 기초적인 정비업무 수행.

건설 및 유통구조가 대형화되고 기계화됨에 따라 각종 건설공사, 항만 또는 생산작업 현 장에서 지게차 등운반용 건설기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이에 따라 고성능기종의 운 반용 건설기계의 개발과 더불어 지게차의 안전운행과 기계수명 연장 및 작업능률 제고 를 위해 숙련기능인력 양성이 요구됨.

수행직무

생산현장이나 창고, 부두 등에서 경화물을 적재, 하역 및 운반하기 위하여 지게차를 운 전하며, 점검과 기초적인 정비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각종 건설업체, 건설기게 대여업체, 토목공사업체, 건설기계 제조업체, 금속제 품 제조업체, 항만하역업체, 운송 및 창고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시·도 건설사업 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운반용 건설기계는 건설 및 제조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지만, 그 밖의 산업부문에서도 활용된다.때문에 건설, 제조업 및 산업전반의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최 근 IMF관리체제 편입이후 경기하락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지만, 점차 회복세로 돌아서 면서 건설기계운전인력도 증가할 전망이다.특히 건설부문의 경우 다른 업종에 비 해 회복이 더딘 편이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규모 정부정책사업(고속철도, 신공 항건설 등)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등에 의 해 꾸준한 발전이 기대된다.또한 수출부문도 빠른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항만하역 분야의 운반용 건설기계운전인력의 증가가 기대된다.동시에 유통구조의 기계화와 대형화에 따른 기능인력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참고로 지게차 등록현황을보면 IMF 관리체제 하에서 극심한 경기위축을 나타낸 1998년 제외하면 1993년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였다.(등록대수 1993년 43,946대, 1994년 47,040대, 1995년 53,140대, 1996년 58,844대, 1997년 63,192대, 1998년 62,764대 임).또한 가동률 도 점차 높아지고 있어 고용증가가 기대된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훈련기관 : 공공직업훈련원, 사업내직업훈려원, 인정직업훈련원③ 시험과목 - 필기 1.건설기계기관 2.전기 및 작업장치 3.유압일반4.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 5.안전관리- 실기 : 지게차운전 작업 및 도로주행④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4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지게차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31,811명
필기응시
112,929명
필기합격
84,201명
합격률
74.6%
실기접수
139,021명
실기응시
128,023명
실기합격
59,924명
합격률
46.8%
2023년 지게차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29,949명
필기응시
110,279명
필기합격
81,156명
합격률
73.6%
실기접수
133,691명
실기응시
123,766명
실기합격
58,551명
합격률
47.3%
2022년 지게차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13,690명
필기응시
94,822명
필기합격
70,877명
합격률
74.7%
실기접수
121,761명
실기응시
112,030명
실기합격
54,158명
합격률
48.3%
2021년 지게차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22,244명
필기응시
101,408명
필기합격
72,818명
합격률
71.8%
실기접수
118,176명
실기응시
109,940명
실기합격
54,392명
합격률
49.5%
2020년 지게차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05,252명
필기응시
87,972명
필기합격
59,864명
합격률
68.0%
실기접수
90,206명
실기응시
84,612명
실기합격
42,602명
합격률
50.3%